족보
  • 윤길보(尹吉甫)
  • 칠원윤씨(漆原尹氏)
고려 충선왕 때의 폐신(嬖臣). 원나라로 도망갔다가 세자로 있던 충렬왕을 만나 응견(鷹犬)으로 신임을 얻은 뒤 돌아와 군부판서(軍簿判書), 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에 오르기까지 갖은 악행을 저질렀던 수(秀)의 아들이다. 길손(吉孫)은 형이고, 아들로는 환(桓)이 있다. 1270년(원종 11) 고려 정부가 몽고에 항복하고 개경으로 환도하자 배중손(裵仲孫), 노영희(盧永禧) 등이 강화도에서 삼별초(三別抄)를 이끌고 반기를 들어 진도로 향할 때 낭장으로서 전 중서사인 이숙진(李淑眞)과 더불어 노예를 모아 구포(仇浦: 경기도 광주의 서쪽 90리 남양과 경계에 있다.)에서 싸워 5명을 베고 부락산(浮落山)바닷가에서 군사의 위세를 나타내어 삼별초 무리들을 쫓았다. 본래 격구(擊毬)를 잘 쳐 원나라 태자(太子: 뒤의 仁宗)의 동궁(東宮)에 출입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충선왕의 총애도 받게 되어 중랑장(中郞將)이 되었다가 곧바로 대장군에 올랐다. 1309년(충선왕 1) 왕이 사랑하는 숙비(淑妃)가 순비(順妃)로 하여 곤경에 빠지게 되었는데, 원나라 태자에게 사정하여 구하여주었으므로 더욱 왕의 신임을 얻어 대호군이 되었으며, 같은해 원나라에 가서 동녀(童女)와 환자(宦者)를 바쳤다. 1320년(충숙왕 7) 원나라 에가 새매〔○〕를 바쳤다. 뒤에 환관 백안독고사(伯安禿古思)의 뜻에 거슬려 실직하고 무안감무로 좌천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합포진변사(合浦鎭邊使)가 되었다. 1327년 심양왕(瀋陽王) 고(暠)의 사건이 수습되고 나서 왕이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 시종하였던 신하들에 대한 포상이 있었을 때 검교상호군(檢校上護軍)으로서 2등공신에 봉하여졌다. 1332년 충숙왕이 1년 만에 복위한 뒤 전 왕이 총애하던 신하들을 모두 잡아들임에 따라 잠깐 옥에 갇혔으나, 원나라의 요구로 곧 풀려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