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전기의 공신. 1010년(현종 1) 안북도호부사(安北都護府使)로 있었는데, 거란병이 침입하여 청수강(淸水江: 지금의 淸川江)에 이르자 성을 버리고 도망한 관계로 주민이 모두 흩어졌다. 다음해 안북(安北)으로부터 개경에 돌아와서 가족을 거느리고 고향인 무안현으로 돌아가던 중, 거란의 침입으로 피난길에 오른 왕의 행차를 만나 나주 까지 따라갔다. 얼마 뒤 왕을 하직하고 무안으로 돌아갔다가 거란군사가 물러갔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돌아와서 왕을 알현하자, 사재경(司宰卿)에 임명되었다. 같은해 9월 장작감(將作監)이 되었으며, 뒤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올랐다. 거란침입 때에 왕을 호종한 공로가 현저하고 개경을 수복하는 동안 변함없는 절개로 사직을 안정시켰다는 이유로 1052년(문종 6) 각상(閣上)에 도형(圖形)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