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기의 충신. 호는 송은(松隱). 균(均)의 아들이다. 고려말 정헌대부(正憲大夫) 덕녕부윤(德寧府尹)의 관직에 있을 때 함주(咸州: 지금의 함흥)에 있는 갈한천(乫罕川)이 해마다 범람하여 재해가 많았으나 해당 수령들이 그 대책을 세워 해결하지 못하자 특별히 함주부사로 임명되었다. 10여년 동안 함주에 재임하여 있으면서 치수공사를 완수하였으며, 또 목판으로 길이 70간이나 되는 만세교(萬世橋)라는 다리를 놓았다. 그뒤 조선이 개국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향리로 돌아갔다. 태조가 친필의 편지로 여러번 불렀으나 끝내 나가지 아니하고, 아들 중양(仲陽)과 함께 인동에 은거하면서 절의를 지켰다. 김집(金集)이 기록한 '두문동칠십이현록 杜門洞七十二賢錄'에 16번째로 기록되어 있다. 이상정(李象靖)이 지은 유허비문(遺墟碑文)을 보면, 그의 거관치적(居官治績)과 애국충절이 잘 기술되어 있다. 인동 옥계사(玉溪祠)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송은실기'가 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