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현휘(玄暉)
  • 남원이씨(南原李氏),  출생~사망 : 879 ~ 941
고려 초기의 고승. 남원이씨(南原李氏). 아버지는 덕순(德順)이며, 어머니는 전씨(傳氏)이다. 영각산사(靈覺山寺) 심광(深光)에게 출가하고, 898년(효공왕 2) 해인사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그뒤 잠시 무주에 머무르다가, 906년 당나라에 가서 구봉산(九峰山) 도건(道乾)의 문하에서 입실참선(入室參禪)하며 머무른 지 10여일 만에 심요(心要)를 받았다. 10여년 동안 중국의 각지를 두루 편력하다가 고려가 건국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924년(태조 7)에 귀국하였다. 태조는 사신을 교외에 보내어 영접하고, 곧 궁중으로 맞아들여 국사의 대우를 하였다. 태조의 청에 의하여 중주(中州: 지금의 충주)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렀다. 도풍(道風)을 듣고 찾아오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종지(宗旨)를 가르쳐 명성을 떨치다가 941년에 입적하였다. 944년에 최언위(崔彦○)가 찬한 탑비를 세웠는데, 현재 정토사터에 남아 있다. 구산문 중의 성주산문(聖住山門)의 선풍을 계승하였고, 왕건(王建) 및 충주 지역의 호족들과도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으며, 중원부의 도속(道俗)들이 거의 귀의하고 숭앙하였다. 제자로는 활행(闊行) 등 300여 명이 있다. 비음기(碑陰記)에는 홍림대덕(弘琳大德), 경부대통(景孚大統), 훈예화상(訓刈和尙) 등 9명의 승려와 유권열(劉權說), 견서(堅書), 준홍(俊弘) 등 40여명의 지방호족이 명기되어 있는데, 모두 그와 인연이 있던 인물들이다. 시호는 법경대사(法鏡大師), 탑호는 자등(慈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