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무신정권기의 문신. 국가의 전례(典禮)에 밝았던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순(恂)의 아들이다. 어릴 때부터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고, 고종 때에 과거에 급제하여 금주현령(金州縣令)이 되어 청렴과 공평으로 그 치적이 드러났다. 그뒤 도병마록사(都兵馬錄事)를 거쳐 감찰어사가 되어 우창(右倉)을 감독, 많은 청탁에도 불구하고 공정히 업무를 시행하였다. 몽고의 3차침략이 진행중이던 1238년(고종 25)에 장군 김보정(金寶鼎)과 함께 몽고에 상표(上表)하여 철병을 요구하였으며, 1240년에는 예빈소경(禮賓少卿) 으로, 그리고 2년 뒤에는 시랑으로서 각각 몽고에 다녀오는 등 1238년부터 네차례에 걸쳐 몽고에 사행(使行)하여 화의교섭을 진척시킴으로써 잠정적이나마 양국 사이의 평화관계를 유지하는 데 공헌하였다. 그뒤 여러 벼슬을 거쳐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에 이르렀으나 병으로 단명, 애석히 여기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