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호는 망천(忘川).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하여, 1389년(공양왕 1) 집의에 오르고, 한림학사, 집현전직제학을 지냈다. 뒤에 사직하고 수원의 광교남탑산(光敎南塔山)에서 살았다. 공양왕이 중사(中使)를 보내어 즐기는 바가 무엇인가 물으니 그는 자신이 사는 산천을 극구 칭찬하였는데, 그 말 중에 사통팔달하여 막힌 데가 없다는 말이 있었다.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삼사좌승(三司左丞), 경기우도안렴사(京畿右道按廉使)로 등용하고자 하였으나 끝내 응하지 않았다. 태조가 화공에게 그가 거처하는 곳을 그리게 하고 그곳을 팔달산(八達山)이라고 하였다. 세종 때에 석비를 그 마을 입구에 세워 '고려효자 한림학사 이고(高麗孝子翰林學士李皐)의 비'라고 하였다. 대개 조선에 벼슬하지 않은 8명의 학사를 팔학사(八學士)라고 칭하는데, 그는 그 중 조견(趙○), 이집(李集)과 가까이 살면서 때때로 소를 타고 내왕하였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