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고종 때의 문신, 재상. 신종 때 수태부(守太傅),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유(濡, 克仁)의 아들이며, 고종 때 각각 동지추밀원사, 추밀원부사, 판사재시사(判司宰寺事)에 오른 경겸(景謙), 효순(孝順), 경순(景恂)의 형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이유(李儒), 이백순(李百順), 하천단(河千旦), 이함(李咸), 최자(崔滋) 등과 더불어 문명을 떨쳤다. 1227년(고종 14) 수찬관으로서 '명종실록'을 편찬하는 데 참여하였고, 줄곧 지제고(知制誥)를 지냈다. 1238년 형부상서, 1240년 추밀원부사를 지냈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을 거쳐 참지정사(參知政事), 수문전 대학사(修文殿大學士), 수국사(修國史), 판예부사(判禮部事), 태자태보(太子太保)에 제수되었고, 이후 평장사에 올랐다. 그동안 동지공거(同知貢擧)를 한 차례, 지공거를 세 차례 역임하였으며, 유경(柳璥), 장천기(張天驥), 김응문(金應文), 위순(魏珣), 민황(閔滉)이 그의 문생이다. 벼슬이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으며, 1251년 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