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무신, 재상. 1196년(명종 26)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한 직후에 대장군으로서 우승선에 임명되었다. 다음해에도 궁궐의 이빈문(利賓門) 밖 서쪽 행랑의 기둥에 구멍이 팬 사건이 일어나자, 무신들은 동반(東班: 文班)이 서반(西班: 武班)을 저주하여 일으킨 일이라고 하여 분개하였으나 홀로 이들을 설득하여 진정시켰다. 1202년(신종 5) 승선으로 있으면서 총재(○宰)이던 최선(崔詵)과 함께 예빈성(禮賓省)에 나아가 역관을 선발하였으며, 같은해에 지주사(知奏事)가 되었다. 이후 승진을 거듭하여 재추의 반열에 오르고 추밀원사를 거쳐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다. 1210년(희종 6)에는 직장동정(直長同正) 원서(元○)와 공모하여 최충헌을 살해하려 한다는 투서가 있었으나 곧 무고임이 밝혀져 무사하였다. 그러나 다음해에 왕준명(王濬明)과 환관 등이 최충헌을 살해하려다 실패한 사건이 일어나자, 사전에 이를 알고 있었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