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기의 무신. 고려의 삭방도만호 겸 동북면병마사 자춘(子春: 桓祖)의 아들로 조선 태조의 이복 형이다. 공민왕 때에 두 차례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하여 공을 세우고 2등공신에 책록되었는데, 특히 2차침입 때는 조천주(趙天柱) 등과 함께 안우(安祐)의 휘하에 종군하여 홍건적을 격퇴하고 개경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다. 1376년(우왕 2) 원제(元帝)가 고려국왕으로 임명한 심왕탈탈불화(瀋王脫脫不花)가 입국한다는 보고에 따라 국경방비를 강화할 때 동지밀직(同知密直) 이었던 그는 원수가 되어 서북방어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이어 이듬해에는 나세(羅世)의 휘하로 종군, 강화에서 왜구를 격퇴하고 1380년에 왜구가 또다시 광주와 능성, 화순 두 현(縣)을 침범하자 최공철(崔公哲)과 함께 전라도 방어의 임무를 맡았다. 그해 황산싸움에서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왜구를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1388년 요동정벌 때에는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휘하에서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출전하여 1390년(공양왕 2) 회군공신에 책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