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11월 14일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농사꾼 이규하와 정작선의 3녀 1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인자와의 슬하에 2남 1녀를 둠.
농사를 지으면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책을 좋아했으며, 1933년 화목공립심상소학교를 졸업한 후 가난해서 2년 간 농사를 짓다가 돈이 안 드는 2년제 농업학교에 들어갔다. 졸업 후 영덕군청에 사무원으로 일하다가 1944년 교원시험에 합격하여 청송 부동초등학교에 부임한 뒤, 1986년 명예퇴직 때까지 43년동안 교사, 교감, 교장으로 재직하였다.
1954년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한 이래로 1966년과 1969년 각각 시집 '별들의 합창'과 '탱자나무 울타리'를 출간하였다. 1971년 동아일보신춘문예에 동화와 수필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83년에는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를 만들고 대표 이사를 역임했으며 1989년 한국어린이문학협의회 회장, 1991년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장, 1993년 우리말살리기모임 회장, 1998년 우리말살리는겨례모임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며 우리말 살리기 운동을 이끌었으며, 1997년 사단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 설립 이사를 역임하였다.
시집으로 '별들의 합창'(1966)과 '탱자나무 울타리'(1969)가 있다. 아동문학평론집으로 '시정신과 유희정신'(1977)이 있다. 수필집으로 '이 아이들을 어찌할것인가, 일하는 아이들'(1977), '거꾸로 사는 재미'(1983), '문학의 길 교육의 길'(1990) 등이 있다. 글쓰기 교육서로 '글짓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1984), '교육일기'(1989), '우리글 바로쓰기'(1989), '우리문장 쓰기'(1992),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1993) 등이 있다.
1976년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한국아동문학상을 받았으며, 1988년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로부터 단재상을 받았다. 1999년 전국교원노조가 수여하는 참교육상을 받았다. 200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충북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에 있는 이오덕학교에서 8년간 교육에 종사하다 2003년 8월 25일 별세했으며, 묘소는 이오덕학교 뒷산에 있다.
1925년 11월 14일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농사꾼 이규하와 정작선의 3녀 1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인자와의 슬하에 2남 1녀를 둠.
농사를 지으면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책을 좋아했으며, 1933년 화목공립심상소학교를 졸업한 후 가난해서 2년 간 농사를 짓다가 돈이 안 드는 2년제 농업학교에 들어갔다. 졸업 후 영덕군청에 사무원으로 일하다가 1944년 교원시험에 합격하여 청송 부동초등학교에 부임한 뒤, 1986년 명예퇴직 때까지 43년동안 교사, 교감, 교장으로 재직하였다.
1954년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한 이래로 1966년과 1969년 각각 시집 '별들의 합창'과 '탱자나무 울타리'를 출간하였다. 1971년 동아일보신춘문예에 동화와 수필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83년에는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를 만들고 대표 이사를 역임했으며 1989년 한국어린이문학협의회 회장, 1991년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장, 1993년 우리말살리기모임 회장, 1998년 우리말살리는겨례모임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며 우리말 살리기 운동을 이끌었으며, 1997년 사단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 설립 이사를 역임하였다.
시집으로 '별들의 합창'(1966)과 '탱자나무 울타리'(1969)가 있다. 아동문학평론집으로 '시정신과 유희정신'(1977)이 있다. 수필집으로 '이 아이들을 어찌할것인가, 일하는 아이들'(1977), '거꾸로 사는 재미'(1983), '문학의 길 교육의 길'(1990) 등이 있다. 글쓰기 교육서로 '글짓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1984), '교육일기'(1989), '우리글 바로쓰기'(1989), '우리문장 쓰기'(1992),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1993) 등이 있다.
1976년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한국아동문학상을 받았으며, 1988년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로부터 단재상을 받았다. 1999년 전국교원노조가 수여하는 참교육상을 받았다. 200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충북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에 있는 이오덕학교에서 8년간 교육에 종사하다 2003년 8월 25일 별세했으며, 묘소는 이오덕학교 뒷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