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5월 18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서 출생하였다. 공산주의자였던 그의 아버지 이원철(李元喆)이 한국 전쟁 때 홀로 월북한 이후 그는 어머니 조남현(曹南鉉)의 슬하에서 5남매가 고향인 경북 영양으로 이사하여 어렵게 살았다.
1965년 안동고등학교를 중퇴하고 한동안 방황하다가 1968년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입학했다. 1970년에는 사법시험에 응시한다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중퇴하였다. 그러나 연좌제 등 여러 이유로 사법시험에 실패한 뒤 1973년 결혼과 동시에 군대에 입대했다.
이후 소설 창작에 매진해 1977년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나자레를 아십니까'가 당선되었고,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새하곡'이 당선되었다. 이후 그는 활발한 창작활동으로 그 동안 침체의 늪에 빠져 있던 이 무렵의 문단에 충격을 주고 큰 인기를 얻었다.
1979년에 '사람의 아들'로 제3회 '오늘의 작가상'을, 1982년에 중편 소설 '금시조'로 제15회 '동인 문학상'을, 1983년에 '황제를위하여'로 제3회 '대한민국 문화상'을, 그리고 1984년에는 '영웅시대'로 제11회 '중앙문화 대상'을, 1987년에는 단편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으로 제11회 '이상 문학상'을, '시인과 도둑'으로 제37회 '현대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리고 1992년에는 정부에서 문화 분야에 크게 이바지한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대한 민국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사람의 아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어둠의 그늘', '젊은 날의 초상', '황제를 위하여', '레테의 연가', '금시조', '변경', '아가',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등이 있다. 평역소설에는 '삼국지'와 '수호지'가 있다.
1948년 5월 18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서 출생하였다. 공산주의자였던 그의 아버지 이원철(李元喆)이 한국 전쟁 때 홀로 월북한 이후 그는 어머니 조남현(曹南鉉)의 슬하에서 5남매가 고향인 경북 영양으로 이사하여 어렵게 살았다.
1965년 안동고등학교를 중퇴하고 한동안 방황하다가 1968년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입학했다. 1970년에는 사법시험에 응시한다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중퇴하였다. 그러나 연좌제 등 여러 이유로 사법시험에 실패한 뒤 1973년 결혼과 동시에 군대에 입대했다.
이후 소설 창작에 매진해 1977년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나자레를 아십니까'가 당선되었고,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새하곡'이 당선되었다. 이후 그는 활발한 창작활동으로 그 동안 침체의 늪에 빠져 있던 이 무렵의 문단에 충격을 주고 큰 인기를 얻었다.
1979년에 '사람의 아들'로 제3회 '오늘의 작가상'을, 1982년에 중편 소설 '금시조'로 제15회 '동인 문학상'을, 1983년에 '황제를위하여'로 제3회 '대한민국 문화상'을, 그리고 1984년에는 '영웅시대'로 제11회 '중앙문화 대상'을, 1987년에는 단편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으로 제11회 '이상 문학상'을, '시인과 도둑'으로 제37회 '현대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리고 1992년에는 정부에서 문화 분야에 크게 이바지한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대한 민국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사람의 아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어둠의 그늘', '젊은 날의 초상', '황제를 위하여', '레테의 연가', '금시조', '변경', '아가',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등이 있다. 평역소설에는 '삼국지'와 '수호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