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길창덕(吉昌悳)
  • 해평길씨(海平吉氏),  출생~사망 : 1930 ~ 2010
만화가. 대표작은 '꺼벙이', '순악질 여사'. 명랑만화의 대부.

1930년 1월 30일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태어난 길창덕은 15살 때 주변의 요청으로 상점에 내걸 풍경화 등을 그리며 그림과 인연을 맺었다. 평안북도 정주 조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 후 역무원으로 근무하던 길창덕은 1951년 1.4후퇴 때 22살의 나이로 월남했다. 6.25 참전용사가 된 길창덕은 1953년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군 복무 중 신병 훈련 교재를 만화로 그린 것이 계기가 되어 제대 후 만화가의 길을 걷게 된다.

1955년 서울신문에 '머지않은 미래의 남녀상'이라는 한 컷 만화로 데뷔하였다. 1956년 '야담과 실화'라는 잡지에 '허서방'을 게재하면서 본격적인 직업 만화가로서의 삶을 살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 이후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만화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1966년 '소년한국일보'에 연재를 시작한 '재동이', 1970년 만화왕국, 소년중앙에 연재한 '꺼벙이', 같은 해 여성중앙에 연재한 '순악질 여사' 등 10여 년 이상을 연재한 인기 만화와 장수 캐릭터를 여럿 만들어냈다.

1973년 중앙일보 편집위원을 역임하였고, 1979년에는 한국 만화가협회 자문위원을 지내기도 하였다. 1983년부터 KBS에서 방영된 사랑방 중계에 수년간 고정출연을 하였다. 평소 '내가 만화를 그린 것이 아니라 담배가 만화를 그렸다'고 할 정도로 흡연을 즐겼던 길창덕은 하루 다섯 갑씩 피웠던 담배로 인해 1997년 폐암 말기 판정을 받고 일선에서 물러났다.

2001년 그의 만화 캐릭터 '꺼벙이'가 우표로 발행되었다. 2004년 부천만화정보센터 주최로 '길창덕의 만화세계 50년 꺼벙이 전'이 열리기도 했다. 2003년 그간의 만화창작 활동이 국민문화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을 인정받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6년 SICAF AWARD 코믹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2009년 한국만화 100주년 위원회 고문직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2010년 1월 30일 81세를 일기로 삶을 마감했다.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공로로 국립대전현충원에 묘지번호 제33984호 '육군하사 길창덕'이라는 묘비명 아래 안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