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장기려(張起呂)
  • 안동장씨(安東張氏),  출생~사망 : 1911 ~ 1995
의학자. 한국의 슈바이처. 호는 성산(聖山), 기창(起昌). 평소에 '살아 있는 성자', '바보 의사'라고 불렸다.

1911년 8월 14일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입암동 출생. 한학자였던 장운섭(張雲燮)과 최윤경(崔允卿)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집안은 그가 태어나기 전부터 기독교를 신앙하였는데, 특히 할머니 이경심은 독실한 크리스천으로 장기려에게 종교적 영향을 미쳤다. 집안은 비교적 부유한 편이었다. 할아버지 장정식은 마름 출신으로 400석을 타작할 정도의 토지를 소유한 대지주였다.

부친이 설립한 의성초등학교를 거쳐서 1928년 개성에 있는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그 해에 경성의학 전문학교에 입학하여 1932년에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 경성의전 외과학교실의 조수로 입국하여 한국 외과계의 권위자 백인제(白麟濟) 교수의 제자가 되었다. 1932년 내과의사인 김하식의 맏딸 김봉숙과 결혼하고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지만, 둘째 장가용(張家鏞)만을 대리고 1950년 12월 3일 월남하였으며, 이후 평생 재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았다. 북한에 있는 자녀들은 대부분 의사와 약사로 근무하고 있다.

1938년 경성의전 외과학 강사로 근무하다가 경성의전 입학 당시 돈이 없어서 의사의 진료를 받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의사가 되겠다던 하나님과 맺은 약속을 지키기 위해 1940년 기독교 계열의 평양 기휼병원 외과 과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1940년 9월'충수염 및 충수복막염의 세균학적연구'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교육 및 학술활동으로는 1943년 간상변부에 발생한 간암의 설상절제수술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조선의학회지에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으며, 1947년 평양의과대학 외과학 교수 겸 부속병원 외과 과장, 1953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수, 1956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수 겸 학장, 1965년 서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수 등으로 재직하였다.

뿐만 아니라, 후진 양성은 물론 간에 관한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였고, 1959년에는 한국사람의 간 대량절제 수술에 성공한 후 그 결과를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업적으로 1961년 대한의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1974년에는 한국간연구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직을 맡아 간 외과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사회봉사활동은 1950년 6,25전쟁으로 남하한 후 1951년 경남구제위원회의 전영창과 한상동 목사의 요청으로 부산 영도구 남항동에 위치한 제3교회에서 무료진료기관인 복음병원을 설립하였다. 1976년까지 25년간을 복음병원 원장으로 봉직하면서 1968년에는 청십자 의료보험조합을 발족시키고 영세민들에게 의료복지 혜택을 주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1975년에는 의료보험조합 직영의 청십자병원을 개설하였다.

이듬해인 1976년에는 한국청십자사회복지회를 설립하였다. 이러한 그의 지역사회봉사활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9년 막사이사이 사회봉사상을 수상하였다.

이 외에 1968년 부산복음간호전문대학 설립 및 1970년 만성간질환자들의 모임인 부산장미회 창설과 무료진료, 1978년 거제도 애광원 후원회장, 1981년 부산 생명의 전화 개설, 1985년 한국장애자 재활협회 부산지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지역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한 공로를 인정 받아 대한민국 국민훈장 동백장, 호암상 사회봉사부분,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 인도주의 실천 의사상, 국민훈장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그는 산상수훈의 삶대로 살려고 노력하였으며 경성의전 입학 당시 ‘가난하고 헐벗은 불쌍한 환자들의 의사가 되겠다’고 한 하나님과의 약속을 평생동안 지키려고 노력한 진실한 크리스챤이기도 하다. 한편, 경성의전부속병원 근무시절인 27세 때 척추결핵으로 입원했던 춘원 이광수(李光洙)의 주치의를 맡았는데, 춘원의 소설 '사랑'의 주인공인 의사 안빈의 실존모델이라고도 한다. 저서로는 '외과학', '간 및 담관계 질환', '평화와 사랑', '나의 회고록', '요한복음강해' 등이 있다.

한편, 장기려는 이산가족의 일원으로 누구보다 분단을 아파했고 가족을 그리워했지만, 1985년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의 기회를 주겠다고 했을 때 천만 이산가족을 내버려 두고 혼자 특혜를 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끝내 가족과의 상봉을 마다하였다.

평생 가난한 이를 위해 모든 것을 내어 준 탓에 집 한 채 없이 생활한 장기려는 끝내 가족과 만나지 못한 채 1995년 12월 25일 새벽 1시 45분에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 있다. 부인 김봉숙은 2004년 4월에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