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천주교 순교자. 세례명 토마스. 한국천주교회 창설자의 한 사람인 이승훈(李承薰)의 손자이다. 이승훈의 세 아들(宅逵, 國逵, 身逵) 중 아버지 택규와 작은아버지 신규는 천주교를 신봉하였기 때문에 그도 어려서부터 천주교를 가까이하였고, 정하상(丁夏祥)과 반년 가까이 동거하면서 교리를 배웠다. 1837년(헌종 3) 조선교구 제2대교구장인 앵베르(Imbert) 주교가 조선에 들어오자, 그의 복사(服事)가 되어 주교의 전교활동을 도왔다. 1839년 기해박해로 앵베르가 체포되어 순교하였으나, 그는 홍주로 피신하여 화를 면하고, 박해가 뜸해지자 현석문(玄錫文) 등과 함께 교회재건을 위하여 활동하였다. 1845년 김대건(金大建) 부제(副祭)가 입국할 때 의주 변문까지 가서 그를 무사히 서울까지 인도해왔고, 김대건이 다시 중국으로 건너갈 때 현석문, 최형(崔炯)과 함께 동행하여 상해(上海)로 가서 김대건의 사제서품식에 입회한 다음, 조선교구의 제3대교구장으로 부임하게 된 페레올(Ferre'ol) 주교와 함께 귀국하였다. 그뒤 주교를 도와 전교활동을 계속하던 중, 1846년 병오박해로 김대건이 체포될 때 그 연루자로 붙잡혔으나 배교로 석방되었다. 그러나 1868년 4월 외국인주교와 김대건 신부를 국내로 인도해왔다는 죄목으로 다시금 체포되어 모반부도죄(謀叛不道罪)로 5월 28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