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충신. 자는 언숙(彦叔). 1623년(인조 1) 관서행영(關西行營)의 도원수 장만(張○)에게 의병 800명을 이끌고 가서 그 휘하에서 서로소모별장(西路召募別將)이 되었다. 이듬해 부원수 이괄(李适)이 영변에서 반란을 모의하고 그의 친구 강적(姜適)을 보내어 난에 가담할 것을 종용하였다. 그는 이를 단호히 거부하고 강적의 목을 벤 다음 부하를 거느리고 서울로 출동하였다. 그러나 이미 난이 일어나 왕은 남행(南幸)한 뒤였다. 그는 군사를 사현(沙峴)에 주둔시켰다가 정충신(鄭忠信), 남이흥(南以興), 이수일(李守一) 등과 더불어 난군을 맞아 싸워서 적을 섬멸시켰다.이 전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 3등이 되고 충성군(忠城君)에 봉해졌다. 뒤에 서흥부사가 되어 많은 치적을 남겼다. 1636년 김자점(金自點)이 원수가 되고 그 휘하의 소모장(召募將)이 되었는데, 이때 병자호란이 일어나 청나라 군사가 쳐들어오자 서흥 검수참(劍水站)에서 맞아 싸워 수백명의 적을 베고 용전하였으나 말에서 떨어져 팔뚝이 부러졌으므로 더 싸울 수가 없었다. 부하군사를 원수에게 부속시키고 편비(○裨) 수명을 거느리고 남한산성으로 달리다가 신계(新溪)에서 적에게 포위되자 탈출할 수 없음을 깨닫고 칼을 빼어 자진하였다. 뒤에 한성부판윤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