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김응환(金應煥)
  • 개성김씨(開城金氏),  출생~사망 : 1742 ~ 1789
조선 후기의 화가. 자는 영수(永受). 호는 복헌(復軒), 담졸당(擔拙堂). 의원(醫員) 진경(振景)의 아들이다. 화원이었던 노태현(盧泰鉉)의 외손서(外孫○)이고, 이명기(李命基)와 장한종(張漢宗)의 장인이며, 득신(得臣)과 양신(良臣)의 큰아버지이다. 후사가 없어 동생 응리(應履)의 아들 석신(碩臣)을 양자로 삼았다.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이었으며, 소촌찰방(召村察訪)과 상의원별제(尙衣院別提)를 지냈다. 1759년 영조정순후(英祖貞純后) '가례도감의궤 嘉禮都監儀軌'와 1762년 정조효의후(正祖孝懿后) '가례도감의궤'의 제작에 참여하였고, 1787년 정조어진(正祖御眞) 익선관본(翼善冠本) 도사(圖寫)의 수종화사(隨從畵師)로 활약하였다. 1788년에는 정조의 명으로 김홍도(金弘道)와 함께 영동 9군과 금강산을 유력(遊歷)하면서 실경을 그려 바쳤다. 이때 강세황(姜世晃)도 함께 동행하였다. 김홍도의 스승으로 전해져 있으나 그와의 나이 차이가 세살밖에 되지 않아 믿기 어렵다. 노론계 안동김씨 가문의 서외손(庶外孫)으로 시서화에 조예가 깊었던 성대중(成大中)과 친밀히 교유했으며, 그로부터 '복헌기 復軒記'를 지어 받기도 하였다. 그는 남종화법(南宗畵法)의 산수와 진경산수(眞景山水)에 모두 능했으며, 진경은 대부분 금강산을 그린 것이다. 이들 금강산 그림은 정선(鄭○)의 진경산수화풍을 계승한 것으로, 특히 그가 30세 되던 해인 1772년 김홍도에게 그려준 '금강전도'에 그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그러나 16년 뒤인 1788년 왕명으로 그렸던 '금강산도'에서는 정선의 화풍을 토대로 하여 꽉 채운 구도라든가 갈필의 터치, 그리고 부드러운 먹의 농담(濃淡)변화와 담채(淡彩)의 효율적인 사용 등으로 독특한 화면을 이룩하였다. 그리고 남종산수에서는 화보와 심사정(沈師正)의 영향을 강하게 나타내면서, 미법산수(米法山水)계통의 발묵법(潑墨法)을 애용하여 짙고 흐린 대비효과와 미묘하게 변하는 먹빛의 변화를 살렸다. 그는 정선의 영향을 발판으로 성장했던 조선 후기 정선파의 대표적 화가 중의 한 사람으로 진경산수의 발전 및 남종산수의 전개에 기여한 바 크다. 대표작으로 개인 소장의 '금강산화첩', '금강전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강안청적도 江岸聽笛圖'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