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이기양(李基讓)
  • 광주이씨(廣州李氏),  출생~사망 : 1744 ~ 1802
조선 후기의 실학자, 천주교도. 자는 사흥(士興). 호는 복암(伏菴). 덕형(德馨)의 7대손으로 이가환(李家煥), 권철신(權哲身), 홍낙민(洪樂敏)과는 사돈간이 되며 교우가 두터웠다. 1774년(영조 50) 진사시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그뒤 현감 까지 지내다가 1795년(정조 19)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부수찬이 되었고, 이어 검상, 승지를 역임하고 1798년 의주부윤으로 나갔다. 1800년 진하부사(進賀副使)로서 청나라에 가는 기회에 천주교 교리와 직접 접하게 되었고, 귀국하여 이가환, 이벽(李檗) 등과 함께 사귀었다. 이벽과는 세계와 우주의 기원과 그 질서, 인간영혼과 후세상벌에 관한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서학의 교리를 토론하였는데, 결국이 토론에서 천주교 교리의 합리성을 인정하였고 은밀히 천주교를 신봉하였다. 겉으로는 남인공서파(南人攻西派)와 친분을 가짐으로써 서학 반대자로서 자처하였다. 이후 병조참판, 우승지, 한성부우윤을 거쳐 1801년(순조 1)에는 대사간, 예조참판, 좌승지를 역임하였다. 특히, 안정복(安鼎福)은 그가 천주학에 빠져 들어가자 장문의 서간을 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 아들 총억(寵億)이 신자였던 관계로 반대파들은 그를 이른바 사학(邪學)의 교주라고 비난하였고, 그 자신도 친국소에서 무답으로 응하였기 때문에 단천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죽은 후에 신원, 복관되었다. 저서로는 '복암유고'가 있으며, 편서로는 '한음문고부록 漢陰文稿附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