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의병. 자는 문거(文擧). 호는 개옹(○翁). 참의 곤(崑)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적군이 성주를 함락시키고 승 찬희(贊熙)와 찬숙(贊夙)에게 주사(州事)를 맡기고 향도(嚮導)로 삼았다. 찬희는 곧 잡혀 주살되었지만, 찬숙은 더욱 창궐하여 관병이 이를 제어하지 못하므로, 총병(摠兵) 유정(劉綎)과 의병장 임계영(任啓英) 등이 전세가 불리하다 하여 물러나려 하자 이를 말리고 계교를 써서 찬숙을 사로잡아 의병장 김면(金沔)에게 넘겼다. 김면이 그 공을 행재소에 알리고자 하였으나 그가 극구 사양하자 당시 사람들이 의롭게 여겼다. 아우 홍한(鴻翰)과 사촌아우 사진(士珍)과 더불어 일문삼의사(一門三義士)라 칭하여졌다. 성주의 이양사(伊陽祠)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