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때의 의병장.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판관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분연히 일어나 의를 부르짖고, 격문을 돌려 의병을 규합하였다. 사재를 털어 군량미를 확보하고서, 휘하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곳곳에서 왜군과 싸워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뒤 아들 응춘(應春)과 함께 왕의 행재소에 나아갔으나, 곧 죽었다. 난이 평정된 뒤 아들과 함께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뒷날 병조참의에 증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