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철종의 아버지. 초명은 해동(海東). 작호(爵號)는 전계대원군(箋溪大院君). 영조의 증손자로,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손자이며, 은언군(恩彦君) 이인의 셋째 아들이다.
아버지 이인이 상인들에게 진 부채가 할아버지 영조에게 알려져 1771년(영조 47)에 직산에 유배되고, 다시 제주도 대정현에 안치되었다가 1774년에 풀려났다. 한편, 백형(伯兄) 상계군(常溪君) 담(湛)은 1779년(정조 3)에 홍국영(洪國榮)의 음모로 모반죄로 몰려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1786년에 자살하였으며, 어머니 송씨(宋氏)와 형수 신씨(申氏: 상계군 담의 처)는 1801년(순조 1)에 천주교신자로 사사되면서 아버지도 사사되었다.
이와같이 그는 부모와 형, 형수의 죄로 연좌되어 강화부 교동으로 쫓겨나 불우한 일생을 빈농으로 보냈다. 소생으로는 회평군(懷平君) 명(明, 초명은 元慶), 영평군(永平君景) 경응(景應), 덕완군(德完君) 원범(元範)이 있다. 1849년 헌종이 후사없이 죽어 그의 셋째아들 원범이 철종으로 등극하자 전계대원군에 추봉되었다. 묘는 여주에 있다.
아버지 이인이 상인들에게 진 부채가 할아버지 영조에게 알려져 1771년(영조 47)에 직산에 유배되고, 다시 제주도 대정현에 안치되었다가 1774년에 풀려났다. 한편, 백형(伯兄) 상계군(常溪君) 담(湛)은 1779년(정조 3)에 홍국영(洪國榮)의 음모로 모반죄로 몰려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1786년에 자살하였으며, 어머니 송씨(宋氏)와 형수 신씨(申氏: 상계군 담의 처)는 1801년(순조 1)에 천주교신자로 사사되면서 아버지도 사사되었다.
이와같이 그는 부모와 형, 형수의 죄로 연좌되어 강화부 교동으로 쫓겨나 불우한 일생을 빈농으로 보냈다. 소생으로는 회평군(懷平君) 명(明, 초명은 元慶), 영평군(永平君景) 경응(景應), 덕완군(德完君) 원범(元範)이 있다. 1849년 헌종이 후사없이 죽어 그의 셋째아들 원범이 철종으로 등극하자 전계대원군에 추봉되었다. 묘는 여주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