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인조의 삼남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아들이다. 복평군(福平君)에 봉하여졌다. 1608년(숙종 6) 경신대출척 때 형 복선군(福善君)이 남인인 허견(許堅) 등의 추대로 역모를 하였다는 무고를 받게 되었는데, 고변서 중에 기록되어 있는 허새(許璽), 이덕주(李德周), 유성상(柳星相), 남언철(南彦哲), 이우인(李友仁), 유흘연(柳屹然) 등과 고변한 사람들을 함께 잡아서 국문한 결과 복평군, 복창군(福昌君)도 연루되어 삼복(三福)이 역모죄로 유배, 사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