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치앙(穉仰). 호는 회백(悔百). 대사헌 목의 후손이며, 득영(得英)의 아들이다. 정조 때 전강(殿講)에서 '상서 尙書'를 강독하는데 흐르는 물과 같았다고 한다. 정조는 책상을 두드리며 칭찬하고 음식과 부채를 하사하였다. 문음(門蔭)으로 출사하여 영유현감(永柔縣監)에 제수되었고, 관직이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만년에 예학(禮學)에 관심이 있어 '사례계의 四禮稽疑'를 저술하였고, '거가십요 居家十要', '교아십요 敎兒十要' 등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