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치백(致伯). 호는 안호(安湖). 진주(晉州) 출신. 정종의 열째아들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13대손 완길(完吉)의 아들이다. 1838년(헌종 4)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고, 휘릉별검, 성균관전적, 사헌부감찰, 사간원정언을 역임하였다. 홍문관부수찬, 부교리를 거쳐 1858년(철종 9)교리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고 있었다. 1862년 진주민란주동자 유계춘(柳繼春)이 그가 동향인인 데다 문관조사(文官朝士)로서 지방민의 존경을 받고 있으므로 마치이 민란의 배후지도자인 것처럼 소문을 퍼뜨리자, 도회(都會)에 참석하지 않아 그를 미워하던 향리들에 의하여 민란의 주모자로 무고당하였다. 안핵사 박규수(朴珪壽)가 현지에서, 첫째 초군(樵軍)이 진주읍내에 진입할 때 그도 읍내에 들어갔고, 둘째 초군이 읍내에 들어갈 때 일반양반들에 대해서는 닥치는 대로 폭행을 가하여 도로에 내왕조차 할 수가 없었으나 그에게만은 일제히 길을 열어주어 경의를 표하였고, 셋째 초군들이 일반양반이나 이서(吏胥)들의 가옥은 습격하여 파괴하였으나 그의 집만은 그런 일을 당하지 않았다는 사실 등을 보고함에 따라 주동자로 몰려 전라도 강진현(康津縣)의 고금도(古今島)에 유배되었다. '피무사실 被誣事實'을 적어 자신이 무함을 입은 원통함을 피력하고는 날마다 산에 올라가서 북쪽 서울을 향하여 통곡하였다. 이듬해 여름에 특사명(特赦命)이 도착하기도 전에 죽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