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치량(穉良). 판서 유경(有慶)의 아들이다. 1802년(순조 2) 정시문과에 장원하였으며, 1808년 평안도암행어사로 나갔다가 1810년 홍문관수찬이 되고, 이어 교리가 되었다. 1811년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관서순무사(關西巡撫使) 이요헌(李堯憲)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했다. 그뒤 승지를 거쳐 1816년 강화부유수가 되고, 이어 황해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간, 광주부유수,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828년 이조판서에 승진하였다. 이듬해 한성부판윤, 형조판서를 지내고 1830년 다시 이조판서가 되어 우부빈객(右副賓客)을 겸하다가 좌참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