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자순(子順). 호는 송계(松溪). 이항복(李恒福)의 5대손으로, 정좌(鼎佐)의 아들이다. 일찍이 경사(經史)에 통하고, 문장이 세련되고 우아하여 세상에 알려졌다. 1736년(영조 12)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예문관검열이 되어 세자시강원설서를 겸직, 1740년 후 승문원교리, 홍문관수찬으로 세자시강원문학을 겸직하였다. 1744년 상주목사, 이어 대사간, 승정원승지, 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대과 급제 다음날 영조를 따라 문묘에 배행하여 임금의 언행 수만언(數萬言)을 기록하여 그의 사재(史才)를 인정받게 되었다. 영조의 탕평론에는 따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