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이단석(李端錫)
  • 전주이씨(全州李氏),  출생~사망 : 1625 ~ 1688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유초(有初). 호는 쌍호당(雙壺堂). 종실 경명군(景明君) 침의 후손으로, 사헌부집의 제형(齊衡)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남두명(南斗明)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사마시에 합격하고 문음으로 입사하여 통덕랑에 이르렀다가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곧 승문원에 배속되었다. 1662년 정언이 되었는데, 이해에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그곳의 정세에 대한 상세한 문견록을 작성하여 왕에게 올려 포상받았다. 이어 정언, 지평을 번갈아 역임하다가 1667년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자 일시 사직하였다. 2년 후 정언으로 재기용되었고, 사간, 집의 등을 거쳐 1673년 동부승지에 발탁되었으며, 이어서 육조의 참의를 번갈아 역임하다가 숙종 초에 양주목사, 장단부사, 광주부윤(廣州府尹)을 지냈다. 1678년(숙종 4) 경상도관찰사가 되어 오리(汚吏)를 숙청하여 수령 들의 기강을 바로잡았고, 2년 후에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파견되었다. 귀국 후 곧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성천부사가 되었으나 문무를 겸비하였다 하여 북병사로 교체되었다. 이때 숙의방(淑儀房)에 진상을 지나치게 하였고, 또 진상문서에 신(臣)을 칭한 일을 계기로, 전라도관찰사 때의 비행 및 형제를 보살피지 않았다는 점까지 들추어져 사헌부의 계속된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뒤 충청, 함경도 관찰사를 거쳐 형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평소 언사(言辭)가 준엄하여 남의 미움을 많이 받게 된 점으로 인하여 나주목사로 좌천하게 되었다.이 일은 왕의 적극적인 비호로 인하여 무마되었으나 그 자신은 이로 인하여 병을 얻어 죽었다. 평소 치산(治産)에 힘쓰지 않아 가족이 궁핍을 면하지 못하였다고 할 정도로 당시 청백리로 이름났었다. 이조판서, 대제학 등에 추증되었다. 영광의 장천사우(長川祠宇)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