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신치근(申致謹)
  • 평산신씨(平山申氏),  출생~사망 : 1694 ~ 1738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유언(幼言). 정언 의화(儀華)의 손자, 보(輔)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박태진(朴泰鎭)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4년(영조 즉위년)에 검열, 부수찬을 거쳐, 수찬 때에 북도(北道)에 다녀와서 과죄(科罪)를 적발하였으나 북도인 이재형(李載亨) 등 15인을 천거한 이광좌(李光佐)의 흉당응견(凶黨鷹犬)으로 몰려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이후 부교리, 교리, 지평을 거쳐, 1734년 평사(評事)로서 사행(使行)에서 일으킨 추마지설(推馬之說)로 인하여 관직(館職) 제수가 불가하다는 탄핵을 받았다. 이듬해 진주 겸 사은사(陳奏兼謝恩使)의 서장관이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집의, 사간, 교리 등 삼사를 두루 거쳤다. 사후인 1755년 흉언수작지설(凶言酬酢之說)에 연루되어 생전의 교리직을 추탈당하였으나 1764년 우의정 김상복(金相福)의 상소에 의하여 다시 직첩(職牒)을 환급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