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신응조(申應朝)
  • 평산신씨(平山申氏),  출생~사망 : 1804 ~ 1899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유안(幼安). 호는 계전(桂田), 구암(苟菴).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상현(常顯)의 아들이다. 대유학자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이다. 1852년(철종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 이조정랑, 부제학 등을 역임하였고, 1866년(고종 3)에 이조참판, 대사헌, 1871년에 강원도관찰사, 1873년 형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예조판서가 되었다. 1882년 7월 판부사(判府事)로 있으면서 왜양일체(倭洋一體)의 처지에 서서 사학(邪學)과 양술(洋術)을 배격하였는데, 특히 인천 개항은 삼남과 서북의 이권을 침탈당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군사, 지리상의 요지이기 때문에 최대의 우려가 있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수교 및 통상을 제한하려는 척사적 처지를 정책적 측면에서 주장하였다. 임오군란 이후 재집권하게 된 대원군에 의하여 우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끝내 출사(出仕)하지 않았다. 뒤에 좌의정에 올랐으며, 연로하여 퇴임한 뒤에는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저서로는 '계전집'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