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이정리(李正履)
  • 전주이씨(全州李氏),  출생~사망 : 1783 ~ 1843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심부(審夫). 호는 순계(醇溪). 보천(輔天)의 손자로, 재성(在誠)의 아들이며, 유은(柳○)의 외손자이다. 1807년(순조 7) 진사시에 합격하여 강릉참봉(康陵參奉)과 의령현감을 지냈다. 1835년(헌종 1) 현감으로 있으면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전적이 되었다가 그 이듬해 춘추관기주관으로 '순조실록'의 편찬에도 참가하였다. 도당록회권(都堂錄會圈)에서 4점을 얻었고 1837년 헌납이 되었다가, 홍석주(洪奭周)를 탄핵하기 위하여 삼사가 합계(合啓)할 때 병을 핑계로 참석하지 않아 영암에 귀양갔다가 2년 뒤에 풀려나와 수찬이 되었다. 이해 동지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가서 조세관계와 국내의 사정을 관찰하고 귀국하여 보고하기를 '청나라에서는 농민들의 납세액이 토지 10묘(畝)에 3두2승(三斗二升)인데 정역(丁役)은 1년에은 6돈3푼(六錢三分)뿐이고, 광제원(廣濟院)을 두어 백성을 치료해주며 육영당(育○堂)을 설치하여 고아들을 기른다.'고 복명하였다. 1842년에는 수찬으로 장릉(長陵)과 인릉(仁陵)의 친제(親祭)때 집례(執禮)를 잘 한 공로를 인정받아 상을 받고 가자되었으며, 그뒤 공조참의를 거쳐 북청부사가 되어 재직중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