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사진(士珍). 호는 북곡(北谷). 정영(正英)의 손자로, 참판 대성(大成)의 아들이며, 만성(○成)에게 입양되었다. 1707년(숙종 33)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에 검열에 등용되었다가 그뒤 교리, 수찬을 지냈다. 1716년 소론으로서 '가례원류 家禮源流'의 서문과 발문에서 소론의 영수 윤증(尹拯)을 비난한 필자 권상하(權尙夏), 정호(鄭澔)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삭출(削黜)되었다. 1721년(경종 1) 정언에 기용되고, 이듬해에 사간으로서 세제(世弟: 영조)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건의한 노론의 4대신을 탄핵하여 이들을 제거하였으며, 이어 김일경(金一鏡) 등과 함께 신임사화를 일으켜 노론을 숙청하였다. 경종 때에는 이조참의, 부제학, 좌부빈객,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724년 경종이 죽자 이조참판이 되어 고부 겸 주청사(告訃兼奏請使)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에 노론이 등용되자 극변(極邊)에 안치되었다가 중앙에 압송되어 문초를 받던 중 옥사하였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작품으로 '망일사은비 望日思恩碑', '명위관임제비 明委官林濟碑'의 비문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