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유철(兪㯙)
  • 기계유씨(杞溪兪氏),  출생~사망 : 1606 ~ 1671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방숙(方叔). 호는 취옹(醉翁). 대의(大儀)의 손자로, 예조참의 성증(省曾)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구준(具濬)의 딸이다.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고, 163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을 거쳐 사간으로 재직중 ' 명나라를 피하고 청나라에 사대(事大)의 예를 닦는 것이 마땅하다.'고 건의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끌려가 죽음을 당한 오달제(吳達濟), 윤집(尹集), 홍익한(洪翼漢) 등 삼학사의 가족들에게 은휼(恩恤)이 없음을 논술하여 가납을 받았고, 또 북방편의(北方便宜) 7사를 축조, 진술하여 모두 시행하게 하였다. 1652년(효종 3)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1655년 대사간으로 있을 때에 어전에서 승지 유도삼(柳道三)이 인평대군(麟坪大君)에게 신(臣)이라 칭한 것은 아무 뜻 없는 망발이나, 사사로이 대군을 만나는 것은 국법에 어긋난다 하여 파직을 청하였다가 효종의 노여움을 사서 진도에 위리안치되었다. 그러나 윤집, 권시(權○) 등 여러 대신들의 힘으로 한달 만에 방환(放還)되었다. 현종 초에 다시 복관되어 대사헌을 거쳐 예조참판을 지내고 죽었다. 저서로는 '취옹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