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덕수(德○). 호는 소헌(素軒), 하곡(霞谷). 형조판서 계원(啓遠)의 손자로, 우의정 사석(師錫)의 아들이다. 태채(泰采), 태억(泰億)의 종형이다. 1683년(숙종 9)에 생원이 되고 1686년 별시문과에 종제 태채와 함께 병과로 급제, 설서, 문학, 승지를 거쳐, 1702년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1705년 형조참의, 대사성을 지냈다. 그뒤 우참찬에 오르고, 1720년(경종 즉위년) 복상(卜相) 때에 우의정에 올랐다. 당시 영의정은 김창집(金昌集), 좌의정은 이건명(李健命) 이었다. 신임사화로 노론4대신을 사사(死賜)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올랐다. 1710년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당시 소론의 영수로서 노론과 대립하던 중 1721년 정언 이정소(李廷○)의 건저상소(建儲上疏)와 김창집, 조태채, 이이명(李○命), 이건명 등 노론4대신의 주청에 의해 연잉군(延○君: 뒤의 영조)이 세제(世弟)로 책봉되자, 유봉휘(柳鳳輝)로 하여금 반대의 소를 올리게 하고 세제의 대리청정이 실시되자 최석항(崔錫恒), 조태억, 박태항(朴泰恒), 이광좌(李光佐), 한배하(韓配夏), 이조(李肇) 등과 함께 이를 반대, 대리청정의 환수를 청하여 실현시켰다. 이어 같은해 12월 전 승지 김일경(金一鏡)과 이진유(李眞儒), 윤성시(尹聖時), 박필몽(朴弼夢), 서종하(徐宗廈), 정해(鄭楷), 이명의(李明誼) 등이 상소하여 건저(建儲)를 주장하던 노론 4대신을 4흉(凶)으로 몰아 탄핵한 뒤 결국 4대신의 사사(死賜)를 관철시키자, 영의정에 올라 소론정권을 수립하고, 최석항, 김일경 등과 국론을 주도하였다. 이후 소론은 과격파와 온건파로 나뉘어 정책결정에 논란이 많았는데, 그는 윤순(尹淳)과 함께 온건파의 주장이 되었다. 성격은 온아하고 위풍이 있었으며, 평소 검소한 생활을 하여 여러번 외직에 나갔어도 재물이 쌓이지 않았다. 다만 강인한 성격이 못 되어 남의 부탁을 잘 받아들였기 때문에 잘 다스렸다는 치성(治聲)은 얻지 못하였다고 한다. 1725년(영조 1) 신임사화의 원흉으로 탄핵을 받고 관작이 추탈되었다. 글씨를 잘 썼으며, 산법(算法)에 관계되는 책을 펴냈는데 양전(量田) 등의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편서로 '주서관견 籌書管見'이 있고, 글씨로는 '이충무공고하도유허비 李忠武公高下島遺墟碑', '왕자연령군명비 王子延齡君明碑', '완산백조구석비 完山伯趙龜錫碑', '길성군허유례비 吉城君許惟禮碑'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