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이훤(李藼)
  • 전주이씨(全州李氏),  출생~사망 : 1628 ~ 1679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낙보(樂甫). 호는 도촌(道村). 교리 상질(尙質)의 아들이다. 1661년(현종 2) 천거에 의하여 영릉참봉(寧陵參奉), 내시교관(內侍敎官)을 거친 뒤 1665년 정시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1669년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으로 뽑혀 6품관에 올라 성균관전적, 정언, 헌납, 홍문관부수찬,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71년 이조좌랑을 거쳐 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지제교를 겸임하였고, 1673년 이조정랑에 올랐다. 이어 의정부사인, 세자시강원보덕을 지낸 뒤, 홍문관응교에 재임시 유배당한 김수흥(金壽興), 남이성(南二星) 등이 속히 환원되어야 함을 왕에게 요구하였으며, 대왕대비의 복제문제로 남인과 왕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곧 사간이 되었으나 종래의 예론복제문제(禮論服制問題)와 관련, 남인 일파가 일세유종(一世儒宗)인 송시열(宋時烈)을 비난 공격하는 여론을 계속 일으키고 있다 하여 그들에게 죄줄 것을 청한 계문(啓文)을 올렸다가 도리어 왕의 노여움을 사 파직되었다. 이때 도승지 김석주(金錫胄), 좌승지 안진(安縝) 등 승정원이 모두 왕명을 철회할 것을 극간하였으나, 파당을 옹호하는 태도를 용서할 수 없다 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뒤 순천부사, 인동부사, 첨지중추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