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계장(季章). 아버지는 봉사(奉事) 홍주(弘柱)이다. 1713년(숙종 39) 성균관생으로서 김장생(金長生)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위해 권당(捲堂)을 주동했다 하여 정거(停擧) 당하였다. 1717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22년(경종 2) 정언이 되고, 이어서 문학, 지평을 거쳐, 1727년(영조 3)에 다시 정언이 된 뒤 헌납, 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1728년 호서, 호남 지방의 안무사 겸 순찰어사가 되어 이인좌(李麟佐)의 난으로 소란해진이 지역의 민심수습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1730년 동부승지가 되었으며, 이어서 참찬관, 충청도관찰사, 승지 등을 거쳐, 1732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어 특히 교학(敎學)의 진흥을 위하여 힘썼다. 1734년 대사간, 예조참판, 대사헌, 이듬해 승지, 황해도관찰사, 1736년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그해에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하여 도승지가 되었다. 1738년 형조판서, 좌참찬을 역임한 뒤 이어서 호조판서, 병조판서, 판의금부사를 거쳐 1744년 평안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돌아와 이듬해 다시 판의금부사가 되었으며, 그뒤 판돈령부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효헌(孝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