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경징(景徵). 호는 동촌(東村). 아버지는 현감 급(汲)이며, 호조판서 신국(藎國)의 아우이다. 1613년(광해군 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1615년에는 주서(注書)에 올랐다. 1618년에 병조좌랑이 되었다. 그뒤 성균관직강, 홍문관수찬, 부교리, 이조좌랑, 정언을 지냈다. 1621년 전라도선유어사(全羅道宣諭御史)가 되었으나 근무가 태만하고 직무에 실책이 많다는 대간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1625년에 우부승지에 오르고 호조판서를 지냈으며, 이듬해 우승지, 참찬관에 올랐다. 1630년(인조 8)에는 도승지로 승진하였으며, 1632년 동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40년에 대사성이 되고 이어 참판, 대사간을 지냈으며, 1646년 홍문관제학에 올랐다. 그뒤 대사성이 되었고 1649년(효종 즉위년) 판의금부사를 지낸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 형의 후광으로 정계에 진출하였으나 큰 공적을 남기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