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김계우(金季愚)
  • 연안김씨(延安金氏),  출생~사망 : ? ~ 1539
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경안(景顔). 호는 웅음(雄○). 아버지는 찬이다. 1504년(연산군 10) 주부로서 별시문과에 정과로 급제하고 판관, 청도군수, 수원부사,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덕성이 뛰어나 중종이 잠저에 있을 때에는 사부(師傅)로 있었다. 1507년(중종 2) 정과출신자라 하여 참상판관으로 특채되자 대간이 그 부당성을 왕에게 건의한 바 있다. 1512년 청도군수로 있을 때는 왜인을 추국하는 데 너무 심하게 하였다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았고, 사헌부에서도 파직을 요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벼슬은 공조참판에 이르렀다. 죽은 뒤 중종이 애석해하면서 특별히 관곽 각 1부와 석회 30석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