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요산(樂山). 아버지는 영동현감 표(彪)이며,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91년(선조 24) 진사가 되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인 지남(止男)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였고, 1602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6년 사헌부감찰이 된 뒤 공조좌랑과 병조좌랑을 역임하였고, 1610년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617년에는 통례(通禮)가 되었다. 이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하여 폐모론이 대두되자 그에 반대하다가 하옥되어 추국을 받은 뒤 관직을 떠났으며, 이때부터 이름을 ' 위남 '이라 하였다. 그뒤 구차스럽게 생을 영위할 수 없음을 주장하며 절식하다가 이듬해 죽었다. 문장은 독창적이었고, 시는 도연명(陶淵明)의 풍격이 있었으며, 필법은 안평대군의 것을 따랐을 뿐만 아니라 그림 또한 뛰어났다. 초명은 종남(終男), 자는 자시(子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