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진경(震卿). 아버지는 공조참의 흔이다. 1501년(연산군 7)에 진사가 되고, 150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가 되었으며, 이어서 홍문관부수찬, 춘추관기사관, 사간원정언, 병조좌랑, 호조좌랑, 강원도도사, 중추부도사, 예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1519년 부모가 연로하여 지방에 나가 봉양하고자 양산군수를 자원하였다. 1521년 다시 중앙에 돌아와 홍문관교리가 되었고, 사헌부지평을 거쳐 이듬해 필선이 되었으며, 그뒤 집의, 홍문관전한을 역임하였다. 1524년 평안도경차관으로 파견되어 허공교(虛空橋)에서 야인에게 패한 이함(李○), 한규(韓珪) 등의 죄상을 추국하고 이들을 각각 웅천(熊川)과 순천에 유배하도록 하였다. 1525년 좌부승지가 되고, 이듬해 여주목사로 나갔다가 돌아와 1529년 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530년에 도승지, 이조참판을 역임하였으며, 그뒤 개성유수를 지냈다. 성품이 순수하고 신중하며 곧아 행동에 교만하거나 꾸밈이 없었고 과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