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자정(子定). 호는 용계(龍溪). 순성(順誠)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영동현감 표(彪)이다. 재종숙 양(讓)에게 입양되었다. 1591년(선조 24) 사마시에 합격하고, 같은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다. 1593년 정자가 된 데 이어, 지제교, 수찬, 교리, 응교, 정언, 사간, 장령, 집의, 필선, 보덕, 승지, 예조, 병조, 형조참의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613년(광해군 5) 집의로 있을 때, 박응서(朴應犀)의 무고로 영창대군을 죽이자고 주장하는 지평 정호관(丁好寬)을 면박했고, 인목대비를 폐하려는 이이첨(李爾瞻) 일당에 반대하면서 그 죄상을 폭로하였다. 외직으로 행주판관, 경기, 평안, 전라, 강원도의 도사를 거쳐서 경상감사 및 남양, 순천, 상주, 청풍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 때 임명된 조신들이 외직에서 모두 파직되었으나 특별히 유임되었다. 저서로는 '용계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