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포럼
2025년 3월 23일(일) 乙巳年 己卯月 辛卯日 미래를 열어주는 정통역학 사이트  ㆍ  인터넷 사주 궁합 작명 전문  ㆍ  사주포럼  ㆍ  www.SajuForum.com ♬ 즐겨찾기에 추가
 회원가입  |  아이디 / 비밀번호 찾기
  • 고객 상담전화
  • 평   일 : 오전 9시 ~ 오후 7시
    토요일 : 오전 9시 ~ 오후 3시
    • 풍수지리칼럼 HOME > 풍수 > 풍수지리칼럼
    • 풍수지리는 하늘과 땅사이에 존재하는 인간과 자연환경의 조화를 논하는 학문
      입니다. 음택과 양택.. 그리고 생기가 충만한 명당과 풍수 이야기..
    명당(明堂)의 4대 조건 - [1] 용(龍)
    산세(山勢)와 지세(地勢), 수세(水勢)를 보고 한눈에 그것이 명당길지(明堂吉地)가 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명당을 형성하는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조건 4가지가 풍수지리 이론의 첫 관문입니다. 용(龍), 혈(穴), 사(砂), 수(水)의 4가지가 바로 명당형성의 요체인데 이것들 각각에 대한 요점만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 용(龍)
    용이란 산의 흐름, 산줄기를 뜻하며 우주의 생기(生氣)가 힘차게 약동하여 산맥을 타고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풍수를 거론하는데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바로 이 용입니다. 그중에서도 용이 살아 꿈틀거리는 형상의 생룡(生龍)인가 아니면 죽은 용인가, 즉 사룡(死龍)인가의 여부를 중요시 합니다. 그저 밋밋하게 내려오는 산맥이 아니라 높낮이의 기복차이가 있으면서 좌우로 흔드는 굴곡의 변화가 있어야 생룡으로 판별합니다. 이때 산의 토색(土色)이 밝은 것, 즉 적황색 종류여야 하며 만약 검고 우중충한 느낌이 든다면 생룡의 범주에 들 수 없습니다. 또한 주된 줄기인 간룡(幹龍)인지 곁가지와 같은 지룡(枝龍) 혹은 방룡(傍龍)인지를 살펴야 합니다.

    이외에 용의 진위여부를 가려야 합니다. 형세가 수려한 조종산(祖宗山)에서 힘있게 뻗어 내려온 것은 진짜 용이라고 하여 진룡(眞龍)이라 부르며 진룡처럼 보이지만 중간이 끊어지거나 균형적인 아름다움이 갖춰지지 않은 것 등은 가룡(假龍)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용의 모습이 웅장하고 빼어나면 귀룡(貴龍)이라 하고 그렇지 못하고 특유의 진선미가 없고 맥세가 밋밋하면 천룡(賤龍)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용의 생김새를 보고 좋고 나쁨을 가리는 것, 즉 내룡(來龍)을 보는 기술을 간룡법(看龍法)이라고 합니다. 풍수에서 가장 먼저 살피는 용(龍)에서는 생룡, 간룡, 진룡, 귀룡 등의 조건에 합당해야 길지 명당국이 형성될 수 있다고 봅니다.